-
데이터 타입 (data type)Javascript 2020. 4. 2. 14:20
숫자와 문자
가장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 형식으로써 프로그래밍으로 어떻게 표현하고 연산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숫자 (정수, 실수)
1 //큰따옴표나 작은 따옴표가 붙지 않은 숫자를 숫자로 인식합니다. 1 + 2.5 //정수와 실수을 사용할 수 있고, 사칙연산을 지원합니다. 2 * 5 //곱하기를 할 때는 * (키보드 자판으로, shift + 8)를 사용합니다. 10 / 2 //나누기를 할 때는 / (키보드 자판으로, 오른쪽 shift의 왼쪽)를 사용합니다.사칙연산 이외의 복잡한 연산도 지원합니다.
Math.pow(3,2); // 9, 3의 2승 Math.round(10.6); // 11, 10.6을 반올림 Math.ceil(10.2); // 11, 10.2를 올림 Math.floor(10.6); // 10, 10.6을 내림 Math.sqrt(9); // 3, 3의 제곱근 Math.random(); // 0부터 1.0 사이의 랜덤한 숫자 //Math의 첫글자는 대문자입니다.문자
"Hello, world!" 'Hello, world!' //문자는 큰 따옴표 혹은 작은 따옴표중의 하나로 감싸야합니다. "Hello, world!' //Error - 반드시 첫 따옴표와 같은 마지막 따옴표를 사용해야합니다."1" //숫자를 따옴표로 감싸면 문자가 됩니다. typeof "1" //'string' - typeof는 데이터 타입을 알려주는 기능입니다.만약에 문자열 안에 작은 따옴표나 큰 따옴표를 넣고 싶다면 \(역슬래시)를 따옴표 앞에 위치하여 문자로 해석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.
alert('egoing\'s javascript')"Hello" + ", " + "world" //문자와 문자를 더할 수 있습니다. "Hello, world".length //문자 뒤에 .length 를 붙여서 문자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.변수 (Variable)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정의 매개변수를 배열로 받는 나머지 매개변수 (Rest parameter) (0) 2020.04.12 클로저 (Closure) (0) 2020.04.02 재귀함수 (0) 2020.03.30 정수 메서드 (interger method) (0) 2020.03.30 함수형 프로그래밍 (functional programming) (0) 2020.03.27